본문 바로가기

EMOTIONAL ARCHITECTURE/column

2025 지방저가주택 세제

2025년 부동산 정책 지방 저가 주택 세금 완화 알아보기

 

2025년 경제정책 방향에서는 지방 저가 주택에 대한 세금 완화가 중요한 정책 과제로 제시되었습니다. 이번 정책은 민생경제 회복과 지역 경기 활성화를 목표로 하며, 규제 완화 및 세제 혜택을 통해 지방 부동산 시장의 활성화를 유도합니다. 2025년 경제 정책 방향을 중심으로 자세한 세부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핵심 내용

양도세 중과 배제

  • 한시적 연장: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 배제 조치가 2026년 5월 9일까지 연장되었습니다.
  • 적용 지역 및 조건:수도권 외 비수도권 지역, 공시가격 3억 원 이하 주택에 적용됩니다.
  • 유예 기간 이후에도 특정 지역 주택은 중과 배제 혜택이 유지됩니다.
  • 효과:투자 및 거래 활성화를 도모하며, 실거주자와 투자자 모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종합부동산세 혜택

  • 특례 기준 상향:기존 공시가격 3억 원 이하에서 4억 원 이하로 상향되었습니다.
  • 혜택 요건:지방 저가 주택은 추가로 보유하더라도 주택 수에서 제외됩니다.
  • 기본 공제 12억 원과 최대 80%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추가 혜택:고령자와 장기 보유자에게 더 큰 공제율 적용.
  • 지방 저가 주택 보유 시 추가 세부담 없음.

취득세 완화

  • 적용 기준:수도권 외 지역의 공시가격 2억 원 이하 주택에 대해 취득세 중과 배제.
  • 기존 1억 원 기준에서 상향 조정되어 적용 범위 확대.
  • 재개발·재건축 제외:재개발 및 재건축 정비구역은 혜택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주택 수 제외 조건:지방 저가 주택은 다른 주택의 취득세 중과 판단 시 주택 수에서 제외.

양도소득세 혜택

  • 중과 유예:전국에서 양도세 중과 유예를 1년 더 연장하여 2026년 5월 9일까지 적용.
  • 특례 적용 지역:수도권, 광역시, 세종시 외 지역 및 일부 읍·면 지역(예: 강화군, 연천군 등).
  • 효과:지방 저가 주택 보유 시 양도세 부담 감소.
  • 유예 기간 이후에도 지방 특정 지역에서 혜택 유지.
 
 

세제 혜택 요약

세금종류
지역 기준
금액 기준
취득세
수도권 외 지역
공시가격 2억원 이하
종부세
수도권, 광역시, 세종시 외 지역
공시가격 4억원 이하
양도세
수도권, 광역시, 세종시 외 지역
공시가격 3억 이하

주요 정책 효과

  • 지방 부동산 시장 활성화:지방 저가 주택의 세제 혜택을 통해 거래와 투자 활성화 유도.
  • 실수요자 부담 경감:세금 부담이 완화되어 주택 소유 및 거래가 더욱 용이해짐.
  • 균형 발전 기여: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부동산 시장 균형을 도모.
  • 장기적 경제 활성화:지역 경기 회복과 경제 성장의 기반 마련.

정책 적용 사례

실거주자 사례

서울에 1채를 보유한 A씨는 강원도에 공시가격 1.5억 원의 주택을 추가로 구입했습니다.

  • 결과: 지방 주택은 주택 수에서 제외되며, 종부세 기본 공제 12억 원 혜택을 유지하고 취득세 중과 배제 혜택도 적용받습니다.

투자자 사례

인천에 주택 2채를 보유한 B씨는 연천군에 공시가격 2억 원 이하의 주택을 구입했습니다.

  • 결과: 취득세 중과 배제가 적용되고, 투자 비용 부담이 감소합니다.

주의 사항

  • 지역 및 공시가격 기준 확인 필요:정책 혜택은 지역 및 금액 기준에 따라 다르므로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 재개발 및 재건축 제외:정비구역 내 주택은 혜택에서 제외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1주택 외 추가 1채만 허용:지방 저가 주택은 1채 이상 추가 보유 시 혜택에서 제외됩니다.